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교육심리학 정의 및 역사 발전단계

by 까꿍스마일 2023. 6. 23.
반응형

 

교육심리학이란?

간단하게 요약하면 교육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심리학적으로 연구하여 원리를 정립하고 방법을 찾아내어

제시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한층 더 극대화시키는 응용심리학이나 교육학의 한 분야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개념 및 정의

교육심리학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개념 및 정의를 설명한다면 인간의 심성과 행동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방안을 찾아내는 학문 분야이다. 본디 교육학은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통하여 교육현상을 설명하고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 성과를 학문으로 체계화하여 교육심리학을 비롯 교육철학과 교육사학, 교육사회학, 교육행정학, 교육법학등 다양한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심리학이란 인간의 행동을 기술하고 예언하며 설명과 통제하려는 학문으로 인간행동의 근본적인 원인과 표출양식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주요 학문영역은 심리학을 기반으로 하여 교육심리학을 시작으로 임상심리학, 상담심리학, 발달심리학, 산업심리학등이 있습니다. 이와같이 교육심리학은 교육학과 심리학이론을 접목해서 형성된 학문영역이며, 교육현산에서 인간의 행동을 심리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이해하려는 학문입니다.

 

교육이란 인간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의도와 목적을 지니고 있습니다. 교육심리학이란 단순히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교육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교육현상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에 필요한 이론과 실천적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역사와 발전단계

교육심리학의 역사와 발전단계를 알아보면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반에 영국과 독일 등에서 싹이 트기 시작하였습니다.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큰 성과를 보이고 결과적으로는 교육학 내에 가장 중요한 역사의 하나로 입지를 견고히 하였습니다.

교육심리학의 큰 영향을 미친 가장 대표적인 심리학자로 월리엄 제임스(1842-1910), 그랜빌 스탠리 홀(1844-1924), 존 듀이(1859-1952)가 있습니다.

 

미국 하버드 대학교 교수였던 윌리엄 제임스의 제자인 에드워드 손다이크가 1903년에 교육심리학이란 이름으로 최초의 교육심리학 교재를 출판하였습니다. 에드워드 손다이크는 자극과 반응의 연결에서 환경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힘으로써 중요한 학습이론을 전개하였으며, 미국에서 1910년에 Journal of Educatuonal Psychology를 창간하여 교육심리학 역사발전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교육심리학을 모든 교육적 사태 속에서 반응하는 인간의 경험과 행동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벌헤스 프레더릭 스키너가

말하였고, 무엇, 왜라는 질문에 답하는 것은 교육철학의 문제이면서 교육심리학의 임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인간의 올바른 이해와 효과적인 교육실천을 돕기 위한 학문이 교육심리학입니다. 교육목적을 위해 심리학의 이론, 연구결과, 연구방법 및 도구 등 여러 가지 심리학의 지식이나 결과를 활용하는 응용심리학의  한 분야로 볼 수 있습니다. 교육심리학은 일반 심리학을 비롯하여 생물학과 생리학, 사회학, 문화인류학, 정신의학, 성격학 등의 인접학문의 도움 받아야지만 발전할 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구조는 학습자, 교육환경, 교수, 학습 그리고 교육평가로 규정하고 그 과정에 따라 교육심리학적 과제를 중요시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교육에 있어서 심리적 관점으로 볼 때 교사들에게 실제로 교육과정을 돕는 논리적이고 통합적인 이론을 발달시키게 하였음을 볼 수 있습니다.

 

 

접근방법과 주요 연구영역

교육심리학의 접근방법 목적은 인간이 한 개인의 학습경험이나 발달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정신 분석학적 접근 또는 행동주의접근, 인지심리학적 주의로 접근하여 심리학적 사실이나 법칙을 밝힘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데 있으며, 교육심리학의 영역으로는 크게 기술연구, 상관연구, 실험연구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정신분석학적 접근은 초기에 심리학이라기보다는 정신의학으로 출발하여 인간의 심층심리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심도 있는 정신부석학 접근을 시작했습니다. 정신분석은 정신의 심층적인 무의식과 관계된 행동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통해 이론적 체계를 세운 프로이트의 학설로 고전적 정신분석과 신 정신분석 학파로 접근을 할 수 있습니다.

 

행동주의 접근방법은 객관적 방법과 관찰 가능한 행동의 연구를 중심으로 접근하기 시작하였으며, 유기체의 행동에 대한 일반적 이론을 확립하기 위해서 과학적, 실험적 접근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이론적으로는 행동수정이나 행동요법 등의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을 분만 아니라 인간행동 중 관찰과 츨정이 가능한 외현적 활동에 초점을 맞춥니다. 보상과 벌의 양상을 변화시켜 원하는 행동수정으로 연구하고 접근했습니다.

 

인지심리학의 접근방법으로는 정보처리의 관점에서 생체의 인지활동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인지란 우리의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지적과정을 말합니다. 대표적 연구자로는 장 피아제를 들 수 있습니다. 피아제에 의하면 인간은 태어날 때 유전으로 아주 기본적인 것만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인지가 발딸한다고 보았습니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심리학  (0) 2023.06.27
사회심리학  (0) 2023.06.27
인지심리학  (0) 2023.06.26
성격 심리학  (0) 2023.06.24
심리학 정의 및 역사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0) 2023.06.22